(AI&Digital Inclusion Brief) 특별호 : OpenAI 생산성 노트를 통해 본 ChatGPT 사용 현황과 의미
2025.08.13 조회수 445 최형인 디지털포용기획팀

본 이슈 리포트는 향후 국제사회에서 통용할 수 있는 디지털 포용 정책 개발을 위한 주요 정책의 분석과 시민 사회의 공감대 형성을 위하여 한국지능정보원(NIA)에서 기획, 발간하는 보고서입니다. 


(분석 배경)

OpenAI는 지난 2025년 7월 미국 내 ChatGPT 사용 데이터 등을 활용한 ‘OpenAI Productivity Note 1’ 「Unlocking Economic Opportunity: A First Look at ChatGPT-Powered Productivity」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그간 다양한 연구기관에서 사용자 설문조사 등을 통해 생성형 AI의 활용 분야 등에 대한 보고서를 발간하였으나, OpenAI가 직접 ChatGPT 모델별 실사용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를 제시한 것은 의미가 있다.


본 보고서는 OpenAI 보고서를 기반으로 ChatGPT 사용 현황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보고서에서 미국 내 ChatGPT 사용률 상위권에 해당하는 15개 주를 표시한 지도를 제시하였으나,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없었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특정 주를 중심으로 ChatGPT 활용이 높은 이유를 추론해 보고, 지역 간 격차 발생에 대한 이유와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 내 ChatGPT 사용률 상위권 지역 분석 요약)

➀ (지역별 순위) OpenAI는 ChatGPT 사용률이 높은 1~15위 주를 발표했으며, 순위별로 3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➁ (공통점 부재) 통상적으로 ChatGPT 같은 생성형 AI를 적극 활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그룹과 실제 상위권 그룹은 일치하지 않았으며, 상위권 그룹 전체에 해당하는 공통점은 발견되지 않았다.

➂ (서로 다른 요인) 본 보고서는 높은 사용률이 하나의 공통적인 조건에 의해 발생하지 않고, 서로 다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다는 가정하에 빅테크 주도형과 특정 산업 주도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➃ (그룹별 특성) 빅테크 주도형은 해당 지역의 빅테크 관련 시설로부터 영향을 받아 ChatGPT 같은 기술을 적극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특정 산업 주도형은 AI 도입에 적극적이며 기업 고객 기준 ChatGPT 사용률이 높은 산업이 주요한 지역들이 포함되었다.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 플러스 인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