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한국정보화진흥원(NIA), 5G 최초 국가에서 최고 국가를 향한 성공전략
2019.07.11 조회수 1017 정택진 총무홍보팀
NIA, 5G, 최초 국가에서 최고 국가를 향한 성공전략
- NIA, 「5G 이슈와 성공전략」 보고서 발간 -
 
한국정보화진흥원(원장 문용식, 이하 NIA)은 5G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를 보다 향상시키고자 5G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 분석을 토대로 「5G 이슈와 성공전략」보고서를 발간했다.
 
○ 본 보고서는 상용화 이후 5G 발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제고와 세계 최고 국가로의 목표 달성을 위해 5G 관련 전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는 이슈 사항을 분석하고 성공전략을 담고 있다.
 
□ 우리나라는 지난 2018년 12월 B2B 분야 5G 상용서비스를 시작으로 2019년 4월 스마트폰 분야 5G 상용화를 전 세계 최초로 달성했다.
 
○ 세계 최초 상용화가 세계 최고 국가를 보장하지 않으므로, 5G 최고 국가를 달성하기 위해 산‧학‧연 모두가 5G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 이에, 본 보고서는 사회‧경제, 기술, 산업 등 주요 분야별로 이슈사항을 분석함으로써 각 분야의 준비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분야별 주요 이슈와 성공전략>
분야 주요 이슈 성공전략
사회·경제 . 5G 패러다임 선도 전략 . 개별적인 킬러콘텐츠 개발·발굴 이외에 5G 유망 플랫폼 연구 병행 필요
기술 . 5G의 3대 특성* 비전 조기 달성
* 초저지연, 초연결, 초고속
. 무선 접속망 구축뿐만 아니라 유선 인프라 고도화 병행
. 모바일 엣지 컴퓨팅을 활용한 저지연 환경 구축
. 3대 특성 기반의 5대 핵심기술* 검증
* 원격제어, 상황인지, 초실감·몰입 기술, 대량연결, 고정형 무선 접속 기술
. 5대 핵심기술과
-> 글로벌 최고 수준의 기존 산업 연계
-> 스마트시티 시범 도시에서 실증
산업 . 세계 최초 5G 상용화 성공 . 상용화를 넘어 5G 최고 국가를 위한 킬러 콘텐츠 개발 시급
. 서울시, 주요 광역시에 대한 인프라 구축 . 전국화 이전 기업 전용 사설망 구축으로 융합 서비스 조기 발굴 필요
. 통신사의 인프라 투자 활성화를 위한 혜택 필요
법/제도 . 스트리밍 기업의 데이터 트래픽 폭증 . 망 중립성, 제로레이팅 재논의 필요
. 통신사에 의존한 기업 사설망 구축 . 기업 전용 주파수 할당 논의 등
 
 
 
□ 또한, 5G의 주요 특성(초연결, 초저지연, 초고속)에서 비롯되는 핵심 기술과 그에 따른 융합서비스를 제시해, 4G 대비 변화되는 모습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 5G는 원격제어 기술, 상황인지 및 진단 기술, 초실감·몰입 기술, 대량연결, 고정형 무선 접속* 기술 등을 통해 각 산업을 혁신시킬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 유선망 구축이 어려운 지역에 무선 통신을 활용하여 초고속 통신 환경 구축
 
NIA 문용식 원장은 “세계 최고 수준의 5G 국가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5G와 관련된 현황을 정확히 분석·진단하여 올바른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통해 관련 산업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라며, “본 보고서가 산업계, 공공분야에서 5G 사업을 기획 및 추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이라고 강조했다. <끝>
※ 「5G 이슈와 성공전략」 보고서는 한국정보화진흥원 홈페이지(www.nia.or.kr)와 교보문고, 리디북스, Yes24, 알라딘, 반디앤루니스 e-book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붙임. 5G 3대 특성에 따른 핵심기술과 서비스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 플러스 인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