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Future Strategy 2024-3] 글로벌 정부·민간 분야 AI 투자 동향 분석
2024.06.28 조회수 5604 김소미 미래전략팀

[IT& Future Strategy 2024-3] 글로벌 정부·민간 분야 AI 투자 동향 분석



연구 배경 및 목적

전 세계적으로 AI 기술 주도권 확보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공공 및 민간 분야에서 대규모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AI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실제 미국은 2024년 AI R&D에 31억 달러, 중국은 2030 차세대 AI R&D 프로젝트에 5.34억 위안을 투자하고 있다. 이러한 AI 투자는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필수 요소로, 글로벌 국가들이 특정 AI 기술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전략적 움직임을 보여준다.


아울러 AI 투자는 제조, 금융, 의료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과 변화를 가속화하고 있으며, AI 기술이 접목된 비즈니스 모델과 서비스는 새로운 가치 창출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기업 모두 이러한 변화를 이해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효과적인 AI 정책 수립과 산업 전략 마련을 위해 글로벌 AI 투자 방향을 파악하는 것과 함께 AI 산업의 주력 분야와 변화상을 예측하고, 국가별 기술 경쟁력을 평가하여 앞으로의 AI 정책과 산업 전략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글로벌 AI 투자 동향

2023년 기준 글로벌 AI 투자 규모(정부+민간)는 약 1,419억 달러로, 2015년 대비 4.3배 성장했으며, 전체 AI 투자에서 정부는 약 6%, 민간은 94%를 차지하고 있다. 민간 AI 투자는 2021년 이후 경기침체와 금리 인상으로 인해 전반적인 VC 투자자금 시장이 경색되면서 감소세를 보였으나, 생성AI 기업에 대한 글로벌 VC 투자는 여전히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해외 주요국 정부·민간 분야 AI 투자 동향

2020년부터 2023년까지의 데이터를 보면, 전 세계 AI 투자에서 정부는 평균 4.5%의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나머지 95.5%는 민간 분야가 주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기간 동안 미국과 영국의 민간 AI 투자 비중은 전 세계 평균보다 높아, 민간 주도의 투자 양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중국, 일본, 캐나다는 정부 투자 비중이 전 세계 평균보다 높아, 정부 주도의 AI 투자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주요국의 AI 투자 규모와 비중을 살펴보면, 미국의 정부 AI 투자는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24.1억 달러로,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인 27%를 차지하고 있다. 민간 AI 투자에서는 미국이 1,108억 달러로, 전 세계 민간 AI 투자의 62%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이는 2위인 EU(8%)와 3위인 중국(7%)과 큰 차이를 보인다.



국가별 AI 투자 동향


① 미국

2023년 기준, 미국의 AI 투자 규모는 874.1억 달러로 전 세계 AI 투자의 62%를 차지하며, 2015년 대비 4배 이상 성장했다. 미국 정부의 경우, AI 인프라, R&D, 상용화 및 자금 투자 분야에 집중하고 있으며, 인프라 측면에서는 NAIRR(국가 AI 연구 인프라) 프로그램을 통해 민관 공동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R&D 분야에서는 연방정부 각 부처의 AI R&D 예산(30.9억 달러)과 국방 관련 연간 R&D 예산(38억 달러)를 투입하여 연구를 수행 중이며, 상용화 및 자금 투자 분야에서는 NSF가 중심이 되어 Convergence Accelerator, America’s Seed Fund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② 중국

중국의 AI 투자 규모는 2021년 243억 달러에서 2023년 112.8억 달러로 감소했지만, 여전히 2015년 대비 3.6배 성장한 수준이다. 중국 정부의 경우, AI 인프라, R&D, 상용화 분야에 적극 투자하고 있으며, 앞으로 인프라 분야에서 슈퍼컴퓨터와 데이터센터를 포함한 신형 인프라 구축에 1.4조 위안, 동수서산 공정 인프라 구축에 4,000억 위안을 투자할 계획이다. R&D 분야에서는 차세대 인공지능 연구 프로젝트와 딥러닝 국가연구소를 중심으로 투자가 진행되고 있으며, 상용화 분야에서는 선전시, 베이징, 상해시와 같은 지방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가 주축을 이루고 있다. 



③ EU

EU의 AI 투자 규모는 2023년 기준 134.9억 달러로, 2015년 23.8억 달러와 비교해 6배 이상 성장했으며, 이는 전 세계 AI 투자 규모의 8%를 차지한다. EU 정부 역시 AI 인프라, R&D, 상용화에 투자 중으로, 인프라 측면에서는 EuroHPC JU 프로그램을 통해 20억 유로를 투자하고 있다. R&D 분야에서는 Horizon Europe 프로그램을 통해 연간 10억 유로를, ADRA(AI 로봇 데이터 협회)와 같은 연구 센터에 26억 유로를 투자하고 있다. 상용화 분야에서는 유럽혁신협의회(EIC)의 Accelerator 프로그램, 유럽투자은행(EIB)의 AI Co-Investment Facility, InvestEU 스타트업 투자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④ 캐나다

캐나다의 AI 투자 규모는 2023년 기준 34.2억 달러로, 전 세계 AI 투자의 3.1%를 차지하며, 2015년 대비 6배 성장했다. 캐나다 정부의 AI 인프라, R&D, 상용화 분야를 살펴보면, 인프라 측면에서는 AI Compute Access 펀드를 통해 14.8억 달러를 투자하여 자국 AI 인프라를 강화하고 있다. R&D 분야에서는 캐나다 고등연구소(CIFAR)와 국립 AI 연구소에 총 1.63억 달러를 지원하고 있으며, 상용화 및 자금 투자 분야에서는 국가연구위원회(NRC)의 중소기업 AI 구축/배포 프로그램, 글로벌 혁신 클러스터 산하 Scale AI 프로그램, 전략혁신펀드(SIF) 등을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⑤ 영국

영국의 AI 투자 규모는 2023년 기준 72억 달러로, 전 세계 AI 투자의 4.8%를 차지하며, 2015년 대비 6배 성장했다. 영국 정부는 AI 인프라, R&D, 상용화 분야에 투자하고 있으며, 인프라 측면에서는 AI 연구 자원 프로그램(AIRR)을 통해 5억 파운드를 투자하고 있다. R&D 분야에서는 Horizon Europe 프로그램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상용화 분야에서는 영국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UKRI 챌린지 펀드에서 AI 분야에 4.23억 파운드를 투자하고 있다. 



⑥ 일본

일본의 AI 투자 규모는 2023년 기준 34.4억 달러로, 전 세계 AI 투자의 2.4%를 차지하며, 2015년 대비 3.6배 성장했다. 일본 정부 역시 AI 인프라, R&D, 상용화 분야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으로, 인프라 측면에서 AI 학습 데이터 처리를 위한 자체 슈퍼컴퓨터 개발과 데이터센터 신설에 투자하고 있다. R&D 분야에서는 민간과의 연계를 통한 투자가 적극적으로 진행 중이며, 특히 미국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AI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상용화 및 자금 투자 분야에서는 생성 AI 엑셀러레이터 챌린지(GEIAC) 프로그램을 통해 자국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주요 특징 및 시사점

① 전 세계 AI 투자 지속 증가, ‘생성 AI 경쟁’ 본격화

② AI 투자 1위 美, 2~3위 국가와 압도적 격차로 글로벌 리더십 유지

③ 美·英 민간투자 활발, 中 정부 주도 AI 투자 계속, 日 민관 연계 투자 강화

④ 자국 우선순위에 따른 정부 AI 투자 분야(인프라, R&D, 상용화) 차별화

⑤ 민간 투자, 생성AI 활용한 SW 기업 투자 가장 多, AI 적용 산업에서는 소매영업마케팅, 헬스케어, 전문서비스 등 주목  




작성 및 문의

인공지능정책본부 미래전략팀 김소미 선임(053-230-1284, somikim@nia.or.kr)



제1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 플러스 인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