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디지털 이슈 공론화 리포트 1호] AI 시대의 일자리 변화와 정책 대응 전략
본 보고서는 AI 기술이 단순 반복 업무뿐만 아니라 고차원적 지식 노동까지 대체·보완하며 노동시장을 재편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WEF, IMF, ILO 등 주요 국제기구의 노동시장 관련 보고서를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한다.
또한 미국, 중국, EU, 싱가포르, 독일 등 해외 주요국의 대응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가 단편적인 교육·노동 정책 수립에 그치지 않도록
패키지형 지원 모델을 포함한 정책적 시사점과 대응 전략을 제안한다.
Ⅰ. 서 론 ……………………………………………… 1
II. AI 기술 발전과 노동시장의 변화 …………………… 3
III. 해외 주요 대응 현황………………………………… 11
1. 미국 – AI 활용을 포함한 근로자 숙련 향상 행정명령 발표
2. 중국 - 디지털 인재 육성 가속화 및 디지털 경제 발전 지원 행동 계획 발표
3. EU – AI 기초 역량 강화를 위한 기술 연합 ‘Union of Skills’ 출범
4. 싱가포르 - AI 학습 플랫폼 및 실습 프로그램을 통한 AI 인재 양성 추진
5. 독일 – 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 대응을 위한 법제도 마련
Ⅳ. 시사점 및 대응전략 ………………………………… 20
작성 및 문의
- 작성 : 디지털포용본부 디지털포용기획팀 고현지 선임(053-230-1332, ghjnia@nia.or.kr)
- 기획·자문 : 디지털포용본부 최문실 본부장, 정기호 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