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I Report 2025-10] AI 시대 미래 일자리를 위한 글로벌 협력 전략
연구 배경 및 목적
○ AI·자동화의 급속한 확산으로 노동시장이 구조적으로 재편되고 있으며, 일자리의 대체·창출이 동시에 진행
○ 기술 영향이 국가별로 상이하게 나타나며, 선진국은 전환 압력, 개도국은 인프라 격차로 인한 불평등 위험에 직면
○ 글로벌 기업의 초국경 활동과 가치사슬 연계로 인해 노동시장이 상호의존적 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개별 국가 중심 대응의 한계가 존재
○ 본 연구는 한국이 국제적 논의 주도와 글로벌 협력 강화를 통해 미래 일자리 정책을 선도할 전략을 제시하는 데 목적
주요 내용
○ 전통적으로 노동시장 변화는 경제성장률, 산업구조 전환, 인구구조 변화 등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최근에는 기술이 노동시장의 가장 큰 변동 요인으로 부상
○ 노동시장은 일자리의 대체와 창출, 자동화와 인간노동이 공존하는 전환기에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주요 기관별 다양한 대응 전략을 제시
- 주요 정책 과제로 ▲재교육·재훈련 강화, ▲인재 육성 및 유치, ▲사회안전망 및 고용정책 보완, ▲AI 신뢰성과 포용성 확보, ▲지속적 모니터링과 통계 구축 등 도출
○ 한편, 기술의 영향이 국경을 넘어 확산되는 현실을 고려할 때, 보다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국내적 대응과 병행하여 글로벌 차원의 논의와 협력 추진 필요
○ 최근 국제사회는 AI·디지털 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근로자 역량 강화 및 사회적 안전망 재설계 논의와 더불어 연구·프로젝트를 추진하며 일자리 문제 해결에 적극 대응하는 추세
○ 한국은 고용노동 분야의 글로벌 협력에 지속적으로 동참하고 있으며, 향후 AI·자동화로 인한 글로벌 노동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일자리와 인간 노동의 의미를 재정의하고, 노동의 수요·공급의 변화를 빠르게 감지하여 적절한 고용서비스 및 취업 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및 글로벌 협력 전략 필요
글로벌 협력 전략 제언
○ (국제논의 선도) 글로벌 노동시장 변화에 대응하여 핵심 의제와 정책 대안을 선제적으로 제시하는 주도적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다자무대에서의 한국의 위상 및 영향력 강화
○ (인적교류 확대) 국가별 수요에 기반한 맞춤형 협력 프로그램을 추진하여,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을 포괄하는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
○ (공공재 구축) 고용노동 분야의 글로벌 디지털 공공재를 구축함으로써 증거 기반의 정책 결정을 지원하고, 국가 간 비교·협력·공동 대응을 위한 기초 자료 마련
작성 및 문의
인공지능정책실 미래전략팀 윤정영 선임(053-230-1283, jy108@ni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