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4년 디지털플랫폼정부 조기 구현 및 AI, 양자기술 등 미래 대비에 집중 투자
- 디지털플랫폼정부 전담기관으로서 초거대 AI 활용, 초개인화 서비스 제공 등 추진 -
- 국가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데이터 산업 인프라, 양자, 국방 AI 등 추진 -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원장 황종성, 이하 NIA)은 35년의 역사 동안 ICT 기술 변화 패러다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세계 최고의 디지털 전문기관’ 타이틀을 이어오고 있다.
○ 국가 디지털 전문기관으로 윤석열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디지털플랫폼정부(이하 디플정)를 조기 구현하고 주요 사회 현안 해결과 AI, 양자 등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2024년도 NIA 중점 투자 방향을 밝혔다.
□ 2024년도 정부 예산안 기준으로
○ 첫째, 디지털 분야 핵심 국정과제인 디플정 구현을 위한 핵심과제에 3,017억원을 투입하여 디플정 실현계획을 차질없이 이행할 계획이다.
- 공공부문 클라우드 전환, 초거대 AI 활용, 데이터레이크 운영 등을 통해 디플정 혁신 인프라를 구현하고(하나의 정부 구현에 1,335억 투자)
- 공공마이데이터, 혜택알리미, 디지털지갑서비스 등을 통해 모든 국민이 디플정 혜택을 누리는 초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고(똑똑한 나의 정부에 271억원 투자)
- 공공데이터 개방, 디지털 트윈 활용기반 조성, 국민체감 선도프로젝트 등을 통해 민관 협력의 새로운 가치 창출 기반(민‧관 성장플랫폼에 1,411억원 투자)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 행정·공공기관 민간 클라우드 전환 : 758억원 ※ 초거대 AI 활용 : 688억원 ※ 공공 마이데이터 : 104억원 ※ 초개인화 등 지능형서비스 확대 및 운영 : 99억원 ※ 디지털트윈 활용 기반 조성 : 30억원 ※ 국민 체감 선도 프로젝트 : 140억원 |
※ 국가데이터 산업인프라 조성 : (’24, 신규) 28억원 ※ 양자 테스트베드(클러스터) : (’24, 신규) 100억원 ※ 국방 AI : (’24, 신규) 35억원 ※ IT기반 미래사회 연구, AI영향평가, 인공지능시대법제도기반조성 등 : 36억원 |
※ 디지털포용 제품·서비스 실증 : (신규) 8억원 ※ 디지털질서 글로벌 확산: (신규) 5억원 ※ 국제IT협력프로젝트 운영 : 9억원 ※ 개도국정보접근센터 구축 운영 : 35억원 ※ 해외IT정책결정자 협력채널 운영 : 4억원 ※ 국제기구를통한정보화분야해외진출지원 : 1.94억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