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기관소개
>열린경영
>고객헌장
>핵심서비스 이행표준
열린경영
고객헌장
핵심서비스 이행표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기관 핵심사업과 연계하여 다음과 같은 핵심서비스 이행표준을 정하고,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노력하겠습니다.
1.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서비스 환경 조성
- 국가 인공지능 정책·제도 마련 지원 및 국가 AI 거버넌스 체계 구축에 기여하겠습니다. AI 서비스의 사회적 영향 평가를 통해 합리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신뢰 기반의 지속 가능한 AI 환경 조성을 위한 글로벌 AI 규범 정립을 지원하겠습니다.
- 공공·민간 간 연계·협력을 통해 국민에게 통합·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여 AI 일상화 정책의 사회적 공감대를 향상시키겠습니다. 첨단 혁신 서비스 개발 및 확산을 위해 기업, 기관이 민간의 초거대 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
- AI, 클라우드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AI 기술·인프라를 선도하고, 플랫폼 생태계 활성화를 지원하여 국가 디지털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겠습니다.
- 양자기술 기업 대상 테스트베드 지원 및 양자기술 상용화 기반 조성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 국민이 단기에 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선도과제 추진을 통해 디지털플랫폼정부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대국민 공공서비스 개방 및 민관 융합서비스 창출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 국가 데이터·서비스 연계 API 기반 구현을 위한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고, 중소기업·개발자 대상 개발 지원을 위한 테스트베드를 운영하여 디지털 혁신 서비스 개발을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 국민의 개인데이터 주권 강화 및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해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확대하고, 개인화된 맞춤형 혜택알리미 서비스를 제공하여 국민 편익을 증진하겠습니다.
- 공공부문 정보자원의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추진하고, 정부 공통시스템과 민간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간 연계를 지원하여 공공서비스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제고하겠습니다.
3. 모두가 안전하고 평등한 디지털 사회 만들기
- 디지털 권리장전을 토대로 디지털 심화시대에 재정립이 필요한 핵심과제에 대한 사회적 공론화, 정책연구, 글로벌 확산을 추진하여 새로운 디지털 질서 확립에 기여하겠습니다.
- 디지털 활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국민을 위한 상설배움터 운영 및 찾아가는 교육을 확대하여 전 국민 디지털 역량 강화에 힘쓰겠습니다. 특히 취약계층의 디지털 포용을 위한 정보화교육, 정보통신보조기기 지원 등 디지털 불평등 해소를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 AI·디지털 역기능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교육, 청소년·직장인 등 대상별 AI·디지털윤리 교육을 통해 건전한 디지털 이용문화 조성에 앞장서겠습니다.
- 누구나 쉽게 키오스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인터페이스(UI) 설계원칙, 가이드라인, 개발지원도구 등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구축하여 디지털 접근성 향상에 기여하겠습니다.
4.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E·S·G 경영 실천
- 환경(E): 기후위기에 적극 대응하고 친환경 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탄소 저감 및 환경 보호 활동을 강화하겠습니다. 저전력 고효율의 디지털 인프라 구축으로 친환경 디지털 전환에 앞장서겠습니다.
- 사회(S):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사회문제 해결 및 지역사회 기여 활동을 확대하겠습니다. 디지털 혁신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일자리 창출 지원으로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하겠습니다.
- 지배구조(G): 윤리적이고 투명한 기관 운영을 통해 국민의 신뢰를 제고하겠습니다. 정보 공개 강화, 내부 감사 체계 고도화 등을 통해 책임경영을 실천하고,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강화하겠습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이러한 핵심서비스 이행을 통해 인공지능과 데이터 중심의 디지털 대전환을 선도하고, 국민 모두가 디지털 혜택을 고르게 누릴 수 있는 포용적 디지털 사회 구현에 앞장서겠습니다.